[쿨리가 간다] 검은색 소에게 흰색 줄무늬를 그려 넣으면 벌어지는 일

이그노벨상
소에 흰 줄무늬 그려 넣었더니...파리 절반 이하로 뚝
고지마 연구팀은 일본의 검은색 소를 대상으로 실험했습니다. 검은색 소에 흰색 수성 도료를 발라 얼룩무늬를 그린 건데요. 이렇게 얼룩무늬를 그린 소는 다른 소에 비해 몸에 달라붙는 파리의 수가 절반 가량 적었습니다. 또한 얼룩무늬를 그려 넣은 소의 경우 파리를 쫓느라 고개를 흔드는 행동도 크게 줄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이 소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살충제도 덜 사용하게 되어 가축의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곱씹어볼 만한 재미있는 연구...'이그 노벨상' 영예
이그 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 잡지 과학연구연보(AIR)가 주관하는 특별한 상입니다. 우스꽝스럽지만 곱씹어 보면 생각할 거리를 남기고 과학적으로도 의미 있는 연구를 뽑아 시상하지요. 올해는 35번째 시상식이 열렸고, 일본은 무려 19년 연속 수상자를 배출했습니다. 이 밖에도 올해 이그 노벨상에는 재미있는 연구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고인이 된 윌리엄 빈 미국 아이오와대 박사는 35년간 자신의 손톱과 발톱의 성장 속도를 기록한 논문으로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손발톱의 성장이 더뎌진다는 그의 연구 자체가 매우 시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또 인도의 과학자들은 운동화 냄새가 덜 나게 하는 신발장을 개발한 공로로 공학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이그노벨상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은 미국 하버드대 과학 잡지 '과학연구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가 1991년부터 매년 노벨상 시상식에 앞서 치르는 시상식이야. ‘Ig’는 ‘가짜’라는 뜻으로 이그노벨상은 말하자면 '가짜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지. 하지만, 수상의 영예를 안은 연구들을 보면 결코 가짜라고 할 수는 없어. 처음에는 웃기지만 곱씹어 볼수록 생각할 거리가 있는 연구들이거든. 지금까지 상을 받은 연구를 보면 '고양이는 액체처럼 행동한다'거나 '포유류는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는 연구가 상을 받았어. 엉뚱한 이야기 같지만 실제로 과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연구들이지.
이그노벨상의 시상식은 매년 미국 보스턴에서 열려. 수상자에게는 진짜 노벨상 수상자들이 트로피를 주는 독특한 전통도 있어. 최근에는 환경, 건강, 사회 문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어. 특히 일본은 무려 19년 연속 수상에 성공해 ‘이그 노벨 강국’으로 불리기도 해.
[뉴스 Q&A]
Q. 우리나라의 이그노벨상 수상자도 있어?
한국에도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있어.
1999년 FnC코오롱의 연구원인 권혁호 씨는 세탁을 줄여 환경을 보호한다는 발상에서 출발한 ‘향기 나는 양복’으로 환경보호상을 받았어. 2000년에는 통일교의 고(故) 문선명 총재가 일면식도 없는 수만 쌍의 남녀를 모아 대규모 합동결혼식을 개최한 공로로 경제학상을 수상했지. 1992년 ‘휴거(세상이 끝나는 날 구원받은 사람들이 하늘로 올라감)’를 예언했지만 보기 좋게 틀린 이장림 목사가 2011년 수학상을 받기도 했지. 문선명 총재와 이장림 목사에게 상을 준 것은 풍자의 의미가 커. 2017년에는 유학생인 한지원 씨가 커피잔을 손에 들고 걸을 때 커피가 쏟아지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유체역학상을 받았고, 2023년에는 스탠퍼드 의대 박승민 박사가 진단용 스마트 변기 개발로 공중보건상을 수상하기도 했어.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앞서 살펴본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를 살펴보며 이그노벨상의 독특한 수상자 선발 기준을 정리해보자.
3. 세계적인 권위의 하버드대에서 만든 잡지가 이그노벨상을 만든 이유가 뭘까?

❓QUIZ : 다음 중 '이그 노벨상'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이그 노벨상은 진짜 노벨상 시상식보다 앞서 수상자를 발표해.
② 이그 노벨상은 생물학상, 공학상 2개 부문으로 시상 분야가 정해져 있어.
③ 이그 노벨상 시상식에서는 고인에게 상을 주기도 해.
④ 일본은 19년 연속 이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야.
👉🏻정답 : ②
기사에서 문학상 수상자를 소개한 것으로 미루어 2개 부문 보다는 많은 부문을 시상한다는 걸 알 수 있어. 실제로 이그노벨상은 매년 시상 분야가 달라지는데 수학상, 통계학상, 유체역학상, 심리학상을 주기도 해.
함께 읽어볼 기사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