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바다 한 가운데서 사라진 로힝야족

소수 민족
'박해 피해 거센 바다로' 로힝야족의 위험한 항해
로힝야족은 미얀마에 주로 살지만, 미얀마 정부는 이들이 불법 이민자의 후손들이라며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국적을 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학교나 병원에 가는 것도,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일자리를 얻기도 어렵습니다. 이런 차별과 박해 속에서 많은 로힝야족은 더 안전한 삶을 찾아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등으로 떠납니다. 국적이 없는 로힝야족이 다른 나라로 갈 길은 위험천만한 바다뿐입니다. 밀입국 조직이 마련해 준 낡은 배를 타고 망망대해를 건너는데, 폭풍이 몰아치면 이번처럼 사고가 나기 일쑤입니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약 657명의 로힝야족 난민이 이번 사고가 난 해역에서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낡은 배 세 척에 나눠 탄 로힝야족...실종자 수백 명 가능성도
침몰한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은 로힝야족 밀집지역인 미얀마 라카인주의 부티다웅 지역에서 말레이시아로 향하던 중이었습니다. 당시 약 300명이 함께 출발했는데요. 약 보름 전 출발한 배가 말레이시아 해역에 가까워지자 로힝야족은 감시를 피하기 위해 세 척의 작은 배에 나눠탔습니다. 그 중 한 척이 지난 6일 풍랑에 뒤집히며 참변이 일어난 건데요. 나머지 두 척의 행방도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말레이시아와 태국 해경은 수색 작업을 계속하고 있지만, 수백 명의 실종자와 희생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소수 민족
소수 민족(少數 民族)은 한 사회나 국가 안에서 인구가 적거나, 언어·종교·문화·역사적 배경이 다수와 다른 민족 집단을 말해. 단순히 숫자가 적은 것만을 의미하는 건 아니야. 소수 민족은 정치적, 사회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그래서 로힝야족처럼 종교의 자유, 언어의 자유 등을 빼앗기는 경우가 많아. 하지만 소수 민족이라는 이유로 고유의 언어나 종교를 버려야할 이유는 없잖아. 많은 소수 민족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로 인해서 차별을 받는 경우도 많아. 유엔은 소수 민족이 자신의 문화·언어·종교를 지키고, 평등하게 대우받을 권리를 강조하고 있어.
[뉴스 Q&A]
Q. 왜 한 나라 안에 다른 문화를 가진 소수 민족이 살고 있는 거야?
소수 민족이 생기는 이유는 여러 가지야. 먼저 전쟁·식민지 지배·국경 변경 때문에 소수민족이 되는 경우가 많아. 예전에는 한 지역에 자손대대로 살아온 민족이 있는데 그곳에서 전쟁이 벌어지면 강대국들이 마음대로 국경선을 그어 버리는 일도 많았어. 그러면 원래 한 나라였던 땅이 둘, 셋으로 쪼개지면서 그 민족은 여러 나라에 나뉘어 살게 돼. 예를 들어 쿠르드족은 오랫동안 같은 문화권에서 살았지만, 전쟁과 식민지 지배 이후 국경이 새로 그려지면서 튀르키예·이라크·시리아·이란 등에 흩어져 살게 됐어. 결국 이들은 어느 나라에서도 국민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각 나라의 소수민족이 됐지.
또 다른 이유는 이주와 정착이야. 물건을 팔거나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또는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키울 장소를 찾아 살곳을 옮겨다니는 사람들은 지금도 많아. 게다가 전쟁을 피하고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떠나기도 하지. 이들이 새로운 땅에 자리 잡고 몇 세대에 걸쳐 살다 보면 소수 민족이 될 수도 있어. 미얀마 정부는 로힝야족이 과거 방글라데시, 인도 등에서 온 불법 이민자들의 후손이라고 보고 있어.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로힝야족이 위험한 상황에서도 바다를 건너 다른 나라로 가려고 한 이유는 무엇일까?
3. 우리나라에도 소수 민족이 있을까?

❓QUIZ : 다음 중 [쿨리가 간다]를 읽고 알 수 없는 내용은?
① 바다 한 가운데서 배가 침몰하는 사고가 벌어졌어.
② 로힝야족은 대부분 말레이시아에 살고 있어.
③ 로힝야족은 미얀마에서 많은 차별을 겪고 있어.
④ 이번 사고의 실종자나 희생자는 더 늘어날 수도 있어.
👉🏻정답 : ②
많은 로힝야족은 미얀마에 살고 있어. 이들은 자유를 찾아 말레이사아나 인도네시아 등으로 떠나기도 해.
함께 읽어볼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