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인구 많은 인도에 부자가 많아진 이유

쿨리
쿨리
- [object Promise]분 걸림
답글달기
📚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인 인도의 경제가 요즘 활기를 띠고 있대. 그 이유는 다름 아닌 '금' 때문이라고 해. 인도에는 집집마다 금이 많은데 금 가격이 요즘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기 때문이야. 인도 사람들은 기쁘고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마다 가족, 이웃끼리 금을 주고 받는데, 그 덕분에 인도 사람들은 졸지에 부자가 되었다고 해. 이게 무슨 이야기인지 쿨리가 취재한 이야기를 들어봐.
🔎
오늘 뉴스의 키워드
안전자산
🤷🏼‍♂️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 인도에서는 최근 부자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비결은 바로 ‘금’ 인데요. 인도는 세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일반 국민이 금을 많이 가진 나라입니다. 인도의 가계가 보유한 금의 양은 약 3만 4600톤에 달하는데요. 이는 선진국으로 꼽히는 미국(8133톤)이나 독일(3350톤)보다 네 배 이상 많은 규모입니다.
그런데 최근 2~3년 사이 금값이 2배 넘게 오르면서 인도 사람들이 가진 금의 가치도 덩달아 높아졌어요. 덕분에 인도에서 금 부자가 속출하게 된 겁니다.

'금' 주고 받는 인도 사람들... 치솟는 금값에 함박웃음
인도에서 금은 ‘행운’과 ‘부(富)’의 상징입니다. 많은 인도 사람들은 결혼식이나 축제 같은 특별한 날에 금을 선물로 주고받습니다. 인도에서는 매년 1000만 건이 넘는 결혼식이 열리는데, 결혼식에서 사용되는 금만 해도 1년에 300~400톤에 이른다고 해요. 실제로 인도는 세계에서 금 장신구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나라로 꼽힙니다. 인도 사람들에게 금은 단순히 아름다운 보석이 아니라, 기쁨을 나누고 마음을 전하는 수단입니다.

'안전 자산' 금, 전쟁과 고물가에 수요 늘어나
그런데 금값은 왜 이렇게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 걸까요? 금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돈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듭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저금통이나 지갑 속 돈의 가치가 뚝뚝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사람들은 돈을 그대로 들고 있는 대신 가격이 잘 떨어지지 않는 금을 찾게 된 것입니다.
특히 금은 전쟁이 나거나 세계 경제가 혼란스러울 때 더 많은 사람들이 갖고 싶어하는 '안전 자산'으로 꼽힙니다. 금은 전 세계 어디서나 비슷한 가치를 인정받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금은 한정된 자원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이 많이 찾을수록 가격도 오릅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안전 자산

‘안전 자산’이란 값이 쉽게 떨어지지 않고, 오래 보관해도 가치가 유지되는 자산을 말해. 많은 물건은 시간이 지나면 낡고 가치가 떨어져. 그래서 물건을 산 후 다시 팔 때는 처음 산 가격보다 싼 가격에 팔게 되지. 하지만 금은 시간이 지나 누군가에게 팔 때 그 가격이 대부분 유지되거나 올라. 그 이유는 금의 양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야. 금은 금광석에서 캐낸 금속이야. 양은 정해져 있는데 수많은 사람들이 금을 원해. 금은 장신구 등 수많은 곳에 쓰이거든. 그래서 금의 가격은 쉽게 떨어지지 않아. 이런 이유로 금을 사두면 전쟁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내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야.

[뉴스 Q&A]

Q. 요즘 금 가격이 얼마나 오른 거야?

금 가격은 오랜 세월 동안 꾸준히 올랐어. 1970년대까지만 해도 금이 지금처럼 비싸지는 않았지. 그런데 세계 경제가 불안해질 때마다 금값은 크게 뛰었어. 1970년대 인간의 생활에 필수적인 석유값이 올랐을 때, 2020년 코로나19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렸을 때도 금값은 폭등했지. 사람들이 경제가 불안할 때마다 '안전한 피난처'를 찾아 금을 사들였기 때문이야.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가 수입품에 더 많은 관세를 물리며 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어. 다른 나라에서 물건을 사올 때 세금을 비싸게 매기는 거야. 그러다 보면 수입한 물건의 가격이 자연스럽게 올라가겠지? 사람들은 같은 돈으로 물건을 더 비싸게 사는 수밖에 없어. 그럼 자연스럽게 집안 살림이 어려워졌다고 생각하게 돼. 그러다 보니 물가가 더 오르기 전에 금을 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어.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인도 사람들이 중요한 날에 금을 선물로 주고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3. 금처럼 양이 한정돼 있고 전 세계 어디서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물건은 또 무엇이 있을까?

❓QUIZ :  다음 중 [쿨리가 간다]에서 이야기한 '금'에 대해 잘못 이해한 친구는?

① 슬기: 금의 가격은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해.
② 민이: 인도 가계에서 보유한 금의 양은 미국이 보유한 금의 양보다 많아.
③ 수영: 전쟁이 벌어지거나 경제가 불안해지면 금값이 더욱 비싸져.
④ 은주: 금은 땅 속에 묻혀 있어서 무한정 파낼 수 있는 자원이야.

👉🏻정답 : ④

금은 한정된 자원이야.


함께 읽어볼 기사

[쿨리가 간다] 동전이 사라진다
📚친구들은 물건을 살 때 무엇으로 결제해? 쿨리는 부모님의 카드를 써. 가끔은 지폐를 낼 때도 있지만 동전을 써본 적은 아예 없어. 학교에서 우리나라 돈에 대해 배우면서 동전의 종류나 모양을 익혔지만 사실 동전을 실제로 본 건 손에 꼽을 정도야. 쿨리에게 동전이 이처럼 낯선 데는 다 이유가 있어. 이 세상에서 동전이 자꾸만 사라지고
[쿨리가 간다] 세계는 지금 관세 전쟁 중
😀지금 세계 수많은 나라들이 두려움에 빠졌어. 미국이 그동안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던 나라들에게까지 ‘관세 전쟁’을 선포했거든. 관세가 뭐냐고? 다른 나라에 우리나라의 물건을 팔 때 매기는 세금이야. 세금으로 어떻게 전쟁을 한다는 건지, 무척 궁금하지? 쿨리가 알기 쉽게 설명해줄게.🔎오늘 뉴스의 키워드 관세💸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여러 나라에 전쟁을 선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경제세계News쿨리가 간다
답글달기

쿨리

나는 뉴스쿨의 귀염둥이 리포터 쿨리! 궁금한 것이 있으면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어디든 달려가 진실을 파헤치는 요리조리 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