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히기 위해 살아가는 동물들의 이야기 | 제172호
먹히기 위해 살아가는 동물들의 이야기 | 제172호
디지털북

먹히기 위해 살아가는 동물들의 이야기 | 제172호

🤓
혹시 마트에서 달걀을 살 때 껍데기에 적힌 숫자를 본 적 있니? 모든 달걀에는 1번부터 4번까지의 ‘난각번호’가 표시되어 있어. 1번은 ‘방사 달걀’로, 밖에서 자유롭게 뛰어다니는 닭이 낳은 알이야. 2번은 ‘평사 달걀’로, 실내지만 닭이 날개를 펼 수 있을 만큼 넓은 곳에서 자란 닭이 낳았지. 3번은 ‘개선 케이지’, 4번은 ‘일반 케이지’ 달걀이야. 숫자가 커질수록 닭이 더 좁고 답답한 공간에서 살았다는 뜻이야. 1번 달걀은 꽤 비싸. 하지만 1번이라는 숫자에는 햇살을 즐기며 조금이라도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닭이 낳은 알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어. 그렇다면 4번 달걀을 낳는,케이지 속 닭들은 어떤 하루를 보낼까? 지금부터 케이지 속 암탉 ‘꼬꼬’의 이야기를 들어봐.

 암탉 꼬꼬의 이야기

"덥고 좁은 케이지에서 날 꺼내줘"

안녕, 나는 암탉 ‘꼬꼬’야. 나는 철망으로 된 케이지 안에서 다른 닭 다섯 마리와 함께 살고 있어. 우리가 사는 집을 사람들은 아주 좁다는 의미로 배터리 케이지라고 불러. 우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은 한 마리 당 0.05㎡, A4용지의 3분의 2 정도밖에 안 돼. 몸을 돌리기도 힘들고, 날개를 펴면 옆 친구와 부딪히기도 하지. 닭은 땀샘이 없고 체온이 41도나 돼서 더위에 약해. 여름이면 케이지 안이 찜통이 되고, 숨을 쉬기도 힘들어. 한여름에는 더위를 견디지 못하고 죽는 닭도 많아. 이런 끔찍한 일이 벌어져도 케이지 문을 열어주는 사람은 없어. 우리는 단지 알을 낳기 위해 이곳에 있으니까.

비좁은 케이지 속 닭들...날개도 펼치지 못하고 온종일 산란

우리는 날개를 퍼덕이거나 모래로 목욕하는 걸 좋아해. 하지만 배터리 케이지는 좁아서 도무지 움직일 수가 없어. 매일 아침 조명이 켜지면 우리는 깨어나 사료를 먹어. 좁은 틈 사이로 부리를 내밀어 허겁지겁 먹지. 사료를 더 많이 먹으려고 다른 닭들을 밀쳐 내느라 다치기 일쑤야. 바닥이 철망으로 된 케이지도 있어. 그런 곳에서는 가끔 더보기

먹히기 위해 살아가는 동물들의 이야기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11월 7일에 발행한 제172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덥고 좁은 케이지에서 날 꺼내줘” 암탉 꼬꼬의 이야기뉴스쿨TV - 우리는 얼마나 많은 고기를 먹을까?PLAY - [찬반토론] 비좁은 닭장을 없애야 할까?BOOKCLUB - 육식 그리고 채식에 대하여🤓혹시 마트에서 달걀을 살
우리는 얼마나 많은 고기를 먹고 있을까?
💡닭들이 좁은 철창 안에 갇혀 있는 배터리 케이지 사진을 보고 쿨리는 마음이 무척 불편해졌어. 내가 먹는 닭고기와 계란이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다는 건 미처 생각하지 못했거든. 이렇게 좁은 우리에 갇혀서 고기가 되기 위해 살아가는 동물은 또 있어. 소나 돼지처럼 우리가 많이 먹는 동물들은 공장처럼 운영되는 좁은 축사에서 살다가 고기가 되지. 이
[북클럽] 육식 그리고 채식에 대하여
📖세상에는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도 많아. 이유는 다양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이기도 하고, 동물권을 지키기 위해서이기도 하지. 또 종교적 이유로 고기를 안 먹는 사람도 많아. 고기를 먹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리고 고기를 먹지 않으면서 어떻게 건강을 지킬 수 있을까? 이번 주에는 육식부터 채식까지 우리의 식습관, 그리고 우리가 먹는 음식에 대해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1. HEADLINE - "덥고 좁은 케이지에서 날 꺼내줘" 암탉 꼬꼬의 이야기를 들어봐.
  2. 뉴스쿨TV - 우리는 얼마나 많은 고기를 먹을까?
  3. QUIZ
  4. PLAY - [찬반토론] 비좁은 닭장을 없애야 할까?
  5. BOOKCLUB - 육식 그리고 채식에 대하여

[교과 연계]

3학년 1학기 과학 2. 동물의 생활
3학년 2학기 도덕 7.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우리
3학년 2학기 도덕 8.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탐구
4학년 2학기 과학 2. 생물과 환경
4학년 2학기 과학 4. 기후변화와 우리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