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인의 88%는 OO를 믿는다?!

뉴스쿨
뉴스쿨
- 12분 걸림
답글달기
💡
쿨리는 지금 서울 명동대성당에 와있어. 얼마 전 돌아가신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빈소가 이곳에 마련됐거든. 평일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조문을 하러 와서 성당 정문까지 긴 줄이 이어졌어. 가족을 잃은 것도 아닌데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고 쿨리의 머릿속은 꽤나 복잡해졌어. 종교의 힘은 정말 대단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종교가 뭐길래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가 궁금하기도 했어. 오늘은 뉴쌤께 종교가 도대체 무엇인지 여쭤보려고 해. 친구들도 함께 뉴쌤의 이야기를 들어 볼래?
  • 쿨리 : 쌤, 우리나라에는 가톨릭 신자들이 많은가봐요.
  • 뉴쌤 : 가톨릭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믿는 종교는 아니지만 등록된 교인의 수만 597만 명에 달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11%가 넘으니까 10명 중 1명 이상은 가톨릭 신자인 셈이야.
  • 쿨리 : 아... 그래서 프란치스코 교황님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하러 명동성당에 온 사람들이 그렇게 많았나봐요.
  • 뉴쌤 :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톨릭 신자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존경할 만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더욱 그럴 거야. 과거 가톨릭은 다른 종교를 배척하며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던 적도 있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다양한 종교를 보듬고 화합을 강조했거든.
  • 쿨리 : 쌤, 이 세상엔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요? 제 주변 친구들도 교회나 성당에 다니는 친구들이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 뉴쌤 : 먼저 종교라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눈 다음에 전 세계에 얼마나 많은 종교과 교인이 있는지 이야기해볼까? 쿨리는 종교가 뭐라고 생각하니?
  • 쿨리 : 음... 어려운 질문이네요. 신을 믿고 따르는 거라고 하면 맞을까요?
  • 뉴쌤 : 아주 좋은 대답인걸. 종교라는 건 절대적인 힘을 가진 신, 혹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존재를 믿고 섬기며 의지하는 것을 말해. 사람들이 종교를 믿는 이유는 저마다 다르겠지만 많은 사람들은 종교를 통해 삶의 이유를 깨닫고 마음의 평화를 얻어. 또 종교는 법으로는 강제할 수 없는 도덕을 사람들이 스스로 따르게 하는 힘도 있지.
  • 쿨리 : 누군가 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게 되는 거랑 비슷한 거 같아요.
  • 뉴쌤 : 그래 맞아. 그리고 종교는 인류의 역사와 문명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어. 우리가 박물관에 갔을 때 다른 나라에 여행을 갔을 때 볼 수 있는 수많은 문화유산들은 모두 종교 때문에 만들어진 것들이야. 성당과 사원, 절, 그리스로마 신화 속 신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들도 모두 종교와 관련이 있지. 그리고 고대 무덤 속의 벽화에도 자연을 신처럼 여기며 그려넣은 그림들이 많이 남아 있어.
  • 쿨리 : 자연을 신처럼 받드는 종교도 있어요?
  • 뉴쌤 : 그럼~ 초기의 종교는 동물이나 식물, 태양이나 돌 같은 것들을 신성시하는 것들이 많았어. 산신령이라고 들어봤지? 우리 조상들은 산을 지키고 다스리는 신이 있다고 믿었어. 그리고 성주신이라고 해서 각 집을 지켜주는 신이 있다고 믿기도 했지. 자 그럼 아까 쿨리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이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종교가 있을까?
  • 쿨리 : 음...10개... 아니다... 20개 정도는 있지 않을까요?
  • 뉴쌤 : 놀라지 마~ 전 세계에는 1만 개가 넘는 종교가 있어.
  • 쿨리 : 1만 개요?!!!
  • 뉴쌤 : 응. 물론 그 중에는 소수의 사람들만 믿는 종교도 많아. 전 세계인의 88%는 종교를 가지고 있는데 신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이렇게 4개 종교를 꼽을 수 있지.
  • 쿨리 : 가톨릭은 없네요?
  • 뉴쌤 : 가톨릭은 개신교, 정교회와 함께 모두 기독교로 분류돼. 서남아시아의 예루살렘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뿌리가 같고 예수를 구원자로 믿으며 이웃 사랑을 중시한다는 공통된 교리를 가지고 있어. 전 세계 인구의 약 31%가 기독교 신자라고 해. 기독교인들은 성당이나 교회에서 예배를 하고 결혼식이나 장례식을 치르지. 이들은 기독교의 경전인 성경에 따라 믿음을 실천해.
  • 쿨리 : 기독교가 시작된 곳은 예루살렘인데 어째서 교황님은 바티칸에 살아요?
  • 뉴쌤 : 바티칸은 4세기에 교황청이 자리 잡으면서 오랫동안 가톨릭교의 중심지가 됐어. 바티칸은 이탈리아 로마 시내에 있지만 엄연히 독립적인 국가야. 교황이 통치하는 나라인 셈이지. 다만 규모가 도시 정도밖에 안 되서 도시국가라는 의미로 바티칸 시국이라고 불러. 자, 이제 이슬람교와 힌두교 이야기도 해볼까?
  • 쿨리 : 저는 이슬람교랑 힌두교가 제일 낯설어요. 조금 무섭다는 생각도 들고요.
  • 뉴쌤 : 그건 아마 우리나라에선 두 종교의 교리나 신도들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일 거야. 그런데 이슬람교는 기독교랑 비슷한 점이 꽤 많아.
  • 쿨리 : 어떤 점이 비슷해요?
  • 뉴쌤 : 단 하나의 신을 믿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고 믿지. 자기가 번 돈의 일부를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내야 한다는 교리도 비슷해. 이슬람교는 610년 메카에서 무함마드라는 사람이 창시했어. 약 14억 인구가 이슬람교를 믿는데 대부분 서남아시아 지역에 있지. 무함마드는 죽기 전까지 이슬람교의 유일신인 알라의 계시를 전했는데 그 내용을 기록한 책이 쿠란이야. 쿠란에는 이슬람교의 규칙, 금기, 식사 예절 같은 생활규범이 일일이 기록돼 있어.
  • 쿨리 : 이슬람교는 아무거나 먹어도 안 되고 여자들은 옷으로 몸을 전부 가리고 다녀야 하잖아요.
  • 뉴쌤 : 그래 맞아. 돼지고기와 술을 먹으면 안 되고 무함마드의 초상화나 조각을 만드는 것도 안 돼. 우상을 숭배하면 안 되거든.
  • 쿨리 : 맛있는 돼지고기를 못 먹는다니... 저라면 정말 힘들 거 같아요.
  • 뉴쌤 :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 즉 무슬림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교리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그런 생각을 하지 않을 거야. 이슬람교는 분명 우리에게 낯선 종교인 건 사실이야. 하지만 우리가 다른 문화를 존중해야 하듯이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갖는 게 중요해.
  • 쿨리 : 네. 다른 종교를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태도... 기억해둘게요.
  • 뉴쌤 : 자, 이제 힌두교를 살펴볼 차례야. 지금까지 살펴본 종교는 모두 유일신을 숭배하지만 힌두교는 수많은 신을 믿는 다신교야. 이슬람교와 다르게 이들은 다양한 신의 모습을 조각과 그림으로 만들어.
  • 쿨리 : 신들의 모습이 정말 다채롭네요. 힌두교를 믿는 사람들은 주로 어디에 살아요?
  • 뉴쌤 : 기독교와 이슬람, 불교는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사람이 믿게 됐지만 인도의 민족 종교로 생겨난 힌두교는 지금도 주로 인도 사람들이 믿어. 그래서 세계 3대 종교에는 힌두교가 아닌 불교가 꼽혀.
  • 쿨리 : 아, 그런데 신자들의 수는 불교보다 힌두교가 더 많잖아요?
  • 뉴쌤 : 그건 인도 인구가 많기 때문이야. 혹시 쿨리는 여기가 어딘지 아니?
  • 쿨리 : 사람들이 강에서 목욕을 하네요?
  • 뉴쌤 : 이곳은 인도의 갠지스강이야. 힌두교인들은 갠지스강의 물이 영혼을 정화한다고 믿어. 그래서 죄를 씻는다는 의미로 갠지스강에서 목욕을 해.
  • 쿨리 : 인도인들에게 갠지스강은 무척 소중한 곳이겠네요.
  • 뉴쌤 : 그래 맞아. 자 이제 끝으로 불교를 살펴볼까? 혹시 쿨리는 불교가 어디에서 시작된 종교인지 알고 있니?
  • 쿨리 : 음... 중국이요?
  • 뉴쌤 : 땡~ 불교는 약 2600년 전 인도에서 시작됐어. 인도 북동부에서 석가모니가 창시했고 주로 아시아로 전파됐어.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처럼 누구나 수양을 하면 삶의 의미와 세상의 이치를 깨닫고 부처가 될 수 있다고 가르쳐. 남에게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는 것, 생명을 함부로 죽여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해.
  • 쿨리 : 가만히 들어보면 종교에서 가르치는 건 틀린 말은 없는 거 같아요. 착하게 살아야 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베풀어야 하고 작은 생명도 함부로 죽이면 안 된다는 건 누구나 지켜야 하는 것들이잖아요.
  • 뉴쌤 : 그래. 쿨리 말처럼 각 종교의 교리는 잘 살펴보면 비슷한 점들이 많아. 그런데도 중동 분쟁처럼 종교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는 사실이 참 안타까워.
  • 쿨리 :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선종을 계기로 전 세계의 모든 종교가 화해하고 평화롭게 살게 되면 좋겠어요.

✅빈소

✅조문

✅교인, 신도, 신자

✅배척

✅보수적

✅창시

✅금기

✅숭배

✅정화

✅수양

❓다음 친구들이 뉴스쿨TV를 보고 세계의 종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 뉴스쿨TV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친구는 누구일까? [내용 이해]

① 소윤 : 초기의 종교는 동물이나 식물, 태양이나 돌 같은 것들을 신성시하는 것들이 많았어.
② 지윤 : 지금은 전 세계에 1만 개가 넘는 종교가 있어.
③ 나윤 : 그 중에 신도 수가 가장 많은 종교는 불교야.
④ 정윤 : 불교는 인도에서 처음 시작됐어.

정답 확인하러 가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뉴스쿨TV
답글달기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무료로 읽을 수 있는 콘텐츠를 모두 읽었습니다 😧

구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