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쿨링] 175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
- 헤드라인(HEADLINE)에 등장한 다음 단어의 뜻을 오른쪽에서 찾아 연결해봐. [어휘]
👉정답은
제한 - 정해진 범위 안에서만 하도록 조절하는 것
한도 - 사용할 수 있는 최대치나 넘지 말아야 하는 기준
후불 - 물건은 먼저 받고 돈은 나중에 내는 결제 방식
2. 쿨리가 체크카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초성에 맞게 써 넣어봐. [내용 요약]
💡
체크카드는 (ㅌㅈ)에 있는 돈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야. 물건을 산 후 결제하면 바로 나의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가. 다만 통장에 있는 금액 이상의 돈을 쓸 수는 없어. 지금까지는 만 12세 이상만 체크카드를 만들 수 있었어. 만 12세 미만 어린이가 카드를 쓰고 싶을 때는 부모의 체크카드를 빌려 사용해야 했지. 하지만 최근 정부가 2026년부터 나이 (ㅈㅎ)을 없애, 어린이도 자기 이름으로 된 체크카드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어.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ㅎㅂ) 교통카드 (ㅎㄷ)도 기존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두 배 늘어날 거래.
👉정답은
통장 | 제한 | 후불 | 한도
3. 다음 중 체크카드 제도의 변화를 잘못 이해한 친구는? [내용 이해]
① 방찬 : 2026년부터 체크카드를 만드는 사람의 나이 제한이 없어질 거래.
② 리노 : 후불 교통 카드의 한도는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늘어날 거래
③ 창빈 : 어린이도 체크 카드로 돈을 쓰고 싶은 만큼 자유롭게 쓸 수 있어.
④ 한 : 부모님이 돈의 사용처를 정하는 가족 카드 제도도 도입된대.
👉정답은
③ 체크카드를 만들어도 사용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쓰고 싶은 만큼 쓸 수 있는 건 아니야.
4. 뉴스쿨 TV에서 배운 화폐의 역사를 참고하여 아래 보기의 화폐를 등장한 순서대로 알맞게 나열한 것을 골라보자. [내용 확인]
💡
(가) 디지털 화폐 (나) 물품화폐 (다) 금속화폐
① (가)-(나)-(다)
② (다)-(나)-(가)
③ (나)-(다)-(가)
④ (나)-(가)-(다)
👉정답은
③